A. 학교도서관 미디어센터화
a. DLS
i. 개념
1) =Digital Library System
2) =디지털자료실지원시스템
3) =학교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4) =학교도서관 업무지원시스템
5) 학교도서관 업무지원시스템(DLS) + 독서교육지원시스템 =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 학교도서관 업무지원시스템의 역할
ㄱ. 자료대출반납처리 등 학교도서관 고유업무 처리
ㄴ. 도서관 운영 관련 통계자료 및 보고서 작성
ㄷ. 학교도서관 활동 지원
-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역할
ㄱ. 교과별 추천도서 등의 다양한 독서교육 정보 제공
ㄴ. 독서 후 표현활동 등 학생들의 독서활동 공간 제공
ㄷ. 교과관련자료 등을 통한 교사, 학생 교수학습활동지원
ii. 개발배경
1) 사서교사 부족으로 자료관리의 연속성과 체계성 결여
2) 상호간 자료공유체제 구축 필요성
3) 자료 전산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예산 절감
iii. 성격
1) 국가표준
2) 전국망을 구축함으로써 호환성 및 상호대차, 종합목록 규칙 및 자원공유의 기틀 마련
3) 학교 디지털도서관을 지향
4) AHS, ASP 방식으로 운영
5) XML/RDF 구조로 저장
iv. 기능
1) 독서교육지원정보와 서비스 제공: 독서교육 정보와 서비스, 교과별 관련 도서 목록
2) 교육정보유통기관과 정보연계: 국립 및 공공도서관 등 교수학습정보 연계제공, 개별학교의 디지털정보 통합관리 기반 마련
3) 각급 학교도서관 업무지원: 통합적 도서구입, 교육청 단위 종합목록
4) 각종 정보의 연계 활동: 상호대차 기반 마련, 교육청 단위 목록 구축
v. 운영구조
1) 중앙 DLS센터(KERIS)
2) 디지털자원실지원센터(시도교육청)
3) 학교도서관(단위학교)
vi. 도서관운영자, 도서관이용자, 국가정책 측면에서 기대효과
1) 도서관운영자
- 비전산화 도서관의 완전 해소
- 수서업무 효율성 증대
- 도서관 관리업무 효율화
- 학교소장자료 체계적 관리
2) 도서관이용자
- 웹을 통한 자유로운 이용 지원
- 희망도서 신청
- 독서를 통한 자율적 문제 해결
3) 국가정책
- 단기간에 전국 학교도서관에 보급 가능
- 개별 학교도서관 전산화 예산 절감
- DLS 통한 교수학습, 독서교육 지원
vii. 문제점
1) 개인정보 유출
2) 일시 접속으로 인한 특정 시간에 서버 다운
3) 기존 S/A 버전의 데이터를 DLS로 변환하는데 드는 비용
4) 비전문가에 의한 입력으로 통합목록 검색 시 중복데이터가 많고 양질의 데이터 검증이 어렵다
viii. 개선방안
1) DLS 사용 학교의 인터넷 전용회선 개선
2) 지원 센터 서버 증설
3) 상호작용 가능한 독서활동 메뉴 제공
4) DLS 운영자에 대한 단계별 연수 실시
5) 수준별 메뉴얼 개발, 이용자 교재 개발
b. 교수학습센터
i. 개념: 언제 어디서나 교사, 학생, 지역학습공동체에 필요한 교수학습정보와 자원 서비스를 위해 인적 물적 조직체계에 의해 운영되는 형태
ii. 구성요소
1) 교수학습 정보 및 자원
2) 프로그램
3) 조직 및 요원
4) 특정장소: 학교도서관 중심으로 통합하기도 하고 물리적 장소 없이 서비스 하기도 함
5) 홈페이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기반
iii. 단위 센터별 역할
1) 중앙단위-교수학습개발센터
- 국가 차원 교수학습 기획, 조율
2) 시도교육청단위-교수학습지원센터
- 교수학습자원의 네트워크 구심점 및 현장지원
3) 지역교육청단위-교수학습도움센터
- 오프라인 컨설팅 수행
4) 학교단위-교수학습도움센터
- 교수학습의 최종 서비스 창구
iv. 기대효과
1) 국가 차원
- 학교수업활성화를 위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 관리체계 구축
- 학교여건에 맞는 교수학습전략개발, 구현
2) 교사차원
- 시공간 제약 없음
- 다양한 자원제공을 통해 수업 준비도 향상
3) 학생, 학부모 차원: 학습 참여 기회 증가
4) 전문직 차원: 장학의 전문성 강화
c. 가상학습공동체
i. 멀티미디어 학습 및 학습지원의 네트워크 형성 등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ii. E-learning 센터, E-tutor, 자원조직 및 제공자의 역할
d. 학교도서관 미디어센터화
i. 개념: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수학습자료를 독립된 하나의 공간에 집중하여 상호 연계성과 통합운영
ii. 기능
1) 정보센터
2) 학습공유공간
iii. 효과
1) 학습 효율성 증대 및 수업 방법 개선
2) 정보활용능력 신장
3) 개별학습을 통한 학력증진
4) 협동학습
5) 인적 물적 자원의 경제성
6) 관리 운영의 효율성
B. 학교도서관 시설관리의 실제
a. 학교시설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일반적 요건
i. 안전성
ii. 융통성
iii. 미관성
iv. 연계성
v. 이용성
vi. 관리성
b. 학교도서관의 입지조건
i. 접근성
ii. 확장성
iii. 쾌적성
c. KLA '한국도서관기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i. 공유공간: 13%(복합건물) 20%(독립건물)
ii. 자료공간
iii. 이용자공간: 중학교 21%, 고등으로 갈수록 커짐, 열람석 수는 재적학생의 20% 이상
iv. 직원공간: 중학교 20%
d.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i. 학습연구 영역
ii. 비형식 독서 영역
iii. 교육 영역
iv. 매체 제작 및 모둠 프로젝트 영역: 메이커스페이스
v. 관리 영역
e. '교육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i. 문헌자료공간
ii. 영상자료공간
iii. 인터넷공간
iv. 모둠학습공간
v. 안내/관리공간
f.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i. 영상 및 전자자료 열람 공간
ii. 학생자료 열람 공간
iii. 정보활용교육공간
iv. 교수학습제작공간
v. 대출반납공간
vi. 사무공간
g. 'KERIS'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i. 문헌자료공간: 브라우징 코너
ii. 영상자료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공간, 대집단 학습공간으로도 활용 가능
iii. 전자자료공간
iv. 대집단학습공간
v. 종합관리공간
vi. 대출반납공간: 게시판 설치
h. 학교도서관 기준법 시행령 제 8조(시설, 자료의 기준) 특징
i. 주 출입구와 근접하여 접근하기 쉬운 곳
ii. 면적은 100제곱미터 이상 다만 조정 가능하다
iii. 1,000종 이상의 자료를 갖추어야 하고, 연간 100종 이상의 자료를 추가로 확보하여야 한다
iv. 위 사항에 따라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감이 정한다
v. 폐기 제적: 법적으로는 소장자료의 7%, 학교도서관(권고)은 10%
i. 일반교실을 이용한 학교도서관의 배치형태
i. 단부형: 교실 끝부분에 배치
ii. 중앙형
iii. 사이형
j. 서가배치의 방법
i. 주변식
ii. 중앙식
iii. 혼합식
iv. 방사선식
v. 알코브식: 골방
'임용고시 > 학교도서관운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VI. 인사 및 조직관리 (0) | 2022.06.14 |
---|---|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V. 장서관리 (0) | 2022.06.14 |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III. 예산관리 (0) | 2022.06.14 |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II. 경영계획 (0) | 2022.06.14 |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I. 학교도서관의 이해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