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학교도서관운영론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II. 경영계획

by lib_dotan 2022. 6. 14.

A. 경영계획의 이해

a. 경영의 4대 기능

i. 계획: 사명과 목표를 설정, 예산 편성

ii. 조직: 조직구조를 설계하고 조정

iii. 지휘: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iv. 통제: 측정, 평가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을 수정

b. 내외부 환경분석 기법

i. SOWT: 강점 약점 기회 위협 / SO전략 ST전략 WO전략 WT전략

ii. BCG 매트릭스: 점유율과 성장성 / 스타 캐시카우 문제아 도그

iii. 이용자 요구 분석

c. 목표관리기법(MBO)

i. 구성원들의 참여에 의해 목표를 설정

ii. 세부전략 도출

iii. 절차 공유

d. 각 기준에 따른 경영계획의 유형

i. 기간: 장기계획, 단기계획

ii. 범위: 종합계획, 개별계획

iii. 이용빈도, 반복성: 상설계획, 임시계획

iv. 계층성: 전략계획, 운영계획

B. 학교도서관 경영계획 실제

a. 학교도서관 경영계획 수립의 중요성

i. 합리성

1) 학교도서관 경영의 분명한 목적, 방향 설정

2) 사서교사, 학교장의 의사결정 근거 마련과 일관성 유지

ii. 경제성

1) 최적의 대안 선택으로 예산 절약

2) 예산편성을 위한 근거자료 확보

iii. 통제 및 조정

1) 사전 조정 및 통제

2) 사업의 우선순위, 강점과 약점 확인

b. 학교도서관 경영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

i. 외부

1) 거시: 정치, 제도, 경제, 사회

2) 미시: 교육과정 운영체제, 교수학습방법, 학교정책, 예산

ii. 내부

1) 조직: 1인 운영체제, 소규모 조직, 집단의 범위

2) 운영: 도서관 인력 상황, 시설과 기자재, 자료, 프로그램

c. 학교도서관 운영 프로그램(SLMP)의 위계구조

i. 정보인프라

ii. 정보조직화

iii. 정보서비스

iv. 프로그램

v. 학업성취도

d. 일반적 학교도서관 계획수립 과정

i. 학교도서관의 본질 규명

ii. 실행계획 수립(전략, 규정 지침 등 포함)

iii. 예산편성

iv. 통제기관(학교운영위원회, 학교장)의 승인

v. 실행계획을 적용, 집행

vi. 평가(수정, 보완, 차기연도에 반영)

e. 전략적 계획수립 과정

i. 모기관의 사명 확인

ii. 운영 자원의 평가: 학교도서관기준의 '학교도서관운영평가지표'

iii. 환경요인 평가

iv. 종합, 분석

v. 비전과 사명 기술

vi. 실행계획 수립

vii. 예산확보, 계획실행,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