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독서교육론5

[독서교육론] 이론정리 - III. 독서의 심리적 기초 A. 독서레디네스(=독서 준비성) a. 독서레디네스의 요인 i. 정서적 사회적 요인: 정서적 안정, 자주성, 집단에서의 협력(사회성) ii. 신체적 요인: 시력, 청력, 발성 및 발음기관 등 iii. 지능적 요인: 지능과 독서능력은 정비례 관계 iv. 교육적 요인: 경험적 배경과 언어적 수준 ​ b. 시까모토 이치로의 독서레디네스 발달과정 i. 그림의 이해 ii. 도형 판별력 iii. 도형 기억력 iv. 문자 인지력 v. 안구운동 조정력 ​ c. 시까모토 이치로의 독서레디네스 평가 i. 그림의 지적 ii. 도형동형결합 iii. 도형 기억능력 iv. 문자의 인지 v. 안구운동 ​ ​ B. 독서흥미 a. 독서흥미 유발 원리 i. 정신적 공복감을 느끼도록 한다 ii. 독서자료가 공복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2022. 6. 30.
[독서교육론] 이론정리 - II. 독서교육 내용체계와 독서교육계획 A. 독서교육 내용체계 a. 서양의 독서교육관 변천 i. 도덕 중심주의 시대 ii. 문학 감상주의 시대 iii. 인간교육 중심주의 시대 ​ b. 독서교육관 변천의 사회적 요인 i. 인구증가와 사회계층의 분화 ii. 여가 이용 iii. 매스미디어의 발달 iv. 인간성의 회복 v. 생활수준의 향상과 교육인구의 증대 ​ c. 독서교육관 변천의 교육적 요인 i. 음독에서 묵독으로 ii. 보고 듣기 지도로의 확대 iii. 독서레디네스 개념의 발전 iv. 독서문제아의 발견 v. 교육경쟁의 시대 ​ d. 독서교육관 변천의 심리학적 요인 i. 개인차 발견 ii. 가이던스 운동 ​ e. 독서교육의 원리 i. 적자의 원리: 발달단계 고려, 개인차 고려, 동기부여 ii. 적서의 원리: 알맞은 자료, 이용하기 쉽도록 정비 i.. 2022. 6. 30.
[독서교육론] 이론정리 - I. 독서의 개념과 유형 A. 독서의 개념 a. 독서의 정의 i. 독자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분석, 종합, 추론, 판단하는 주체적인 사고과정 ​ b. 독서의 목적 i. 생산적 활동: 행동의 안내, 정보의 제공, 전문적인 연구 ii. 사회적 활동: 환경의 이해, 적응의 기술, 인격의 안정 iii. 오락적 활동: 여가의 선용, 취미의 향상, 도락의 예능화 ​ c. 그레이의 독서과정 i. 인지단계 ii. 독해단계 iii. 독자반응단계 iv. 융합단계 ​ d. 애들러와 도렌의 독서수준 i. 초급독서: 이 문장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ii. 점검독서: 계통을 세워서 띄엄띄엄 골라 읽는 기술 iii. 분석독서: 철저하게 읽는 것, 이해의 깊이를 향상 iv. 신토피칼 독서: 비교 독서법,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여러 책을 관련 지어 읽.. 2022. 6. 30.
[독서교육론] 그림목차 202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