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학교도서관운영론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VI. 인사 및 조직관리

by lib_dotan 2022. 6. 14.

A. 사서교사

a.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사서교사의 직무범위

i. 학교도서관 운영계획의 수립에 관한 업무

ii. 자료의 수집, 정리, 이용 등 학교도서관 운영에 관한 업무

iii. 독서지도 및 학교도서관 이용방법 등에 대한 교육 및 안내

iv.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교사의 교수학습지원

b. 사서교사의 직무유형

i. 운영관리업무: 예산, 시설 설비관리

ii. 자료관리업무: 장서개발, 자료조직

iii. 교육정보서비스업무: 독서교육, 도서관활용수업

iv. 디지털정보관리: 디지털정보시스템 운영

c.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전문 사서교사의 역할

i. 교육

ii. 경영

iii. 리더십과 협력

iv. 지역사회 참여

v.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서비스 홍보

d. AASL '학교도서관 기준' 사서교사의 역할과 책임영역

i. 리더

1) 학교의 주요 의사결정과정에 참여

2) 학교 개선 사업과 승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3) 학교운영위원회 등에 참여하여 전문지식 공유

4)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도서관 전문성을 선도

ii. 교사

1) 도서관 이용지도 실시

2) 독서교육 실시

3) 정보활용교육 실시

iii. 교수파트너

1) 교육과정개발 및 설계과정에 참여

2) 교과교사와 협력

iv. 정보전문가

1) 학생 및 교사의 정보요구 파악

2)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운영 및 유지

3) 정보윤리교육 실시

v. 학교도서관 프로그램 경영자

1)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선을 위해 전략적 계획 활용

2) 학교도서관프로그램 예산 준비, 편성, 관리

3) 학교도서관 경영통제와 평가를 실시

e. 사서교사의 커뮤니케이션 경향과 유형

i. 관리적 커뮤니케이션(내부, 업무)

1) 공문, 보고서, 생산

2) 소식지 발행

3) 홈페이지 운영

ii. 행동적 커뮤니케이션(내부, 관계)

1) 교사모임 참석

2) 학생상담 활동

3) 학교행사 참여

iii.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외부, 관계)

1) 지역사회 네트워크 참여

2) 언론매체 기고 활동

3) 지역사회 봉사활동 참여

iv.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외부, 업무)

1) 전문직 커뮤니티 활동

2) 교육/연수 프로그램 참여

3) 지역도서관 네트워크 참여

f. 자기평가의 사서교사 평가영역

i. 도서관 경영

ii. 교육과정 기여

iii. 전문성 신장

iv. 협동적 인간관계

v. 자아존중감

vi. 업무수행능력

g.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사서교사 평가영역

i. 도서관 경영

ii. 정보자료 관리

iii. 교육 및 수업지원

B. 인사 및 조직관리의 이해

a. 인적자원 조직의 원리

i. 계층의 원리: 상하관계 및 계층

ii. 통솔범위의 원리: 직접 통솔할 수 있는 합리적 수

iii 명령통일의 원리: 1인의 상관에게 명령과 지시를 받음

iv. 권한위임의 원리: 승인 없이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범위

v. 분업화의 원리: 보다 작은 직무로 구분

vi. 조정의 원리: 제 기능 및 업무를 조화롭게 조정

b. 조직구조의 유형

i. 계선조직: 계층적인 조직

1) 능률적, 신속, 소규모 조직에 적합

2) 업무량과다, 독단적 조치 가능성, 유사시 조직 마비 가능성, 경직성

ii. 막료조직: 계선조직을 보좌하는 조직, 명령 지시 집행 권한x

1) 전문지식과 경험 활용, 수평적인 업무, 신축성, 대규모 조직에 적합

2) 알력과 불화 우려, 경비 증대, 책임 전가 우려

iii. 공식조직: 규정에 의해 제도화된 조직

1) 인위적, 외재적, 전체적인 질서, 대규모

iv. 비공식조직: 인간적 친분에 따라 자생적으로 형성된 조직

1) 자연발생적, 내면적, 부분적인 질서, 소집단

2) 경직성 완화, 유대와 협조, 파벌과 할거주의, 무질서, 공식조직에 적대감 우려

v. 관료조직: 계층적이며 문서로 규정된 조직(계선조직, 공식조직)

1) 문서화, 경력지향

2) 분업, 전문화, 강등소지 최소

3) 문서주의, 형식주의, 인간성 상실, 수단과 목적의 전환

vi. 편의조직: 필요에 의해 수시로 재편성되는 조직(프로젝트조직, 매트릭스조직)

1) 분권적, 전문화, 참여적, 무질서

C. 학교도서관 인사 및 조직관리 실제

a. 학교도서관 인적자원의 특징

i. 학교도서관은 구성원의 참여와 협력에 의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ii. 학교공동체의 구성원은 학교도서관 경영에 참여하며 최종 이용자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iii.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관할 교육청 내, 학교 내, 학교도서관 내 위치 등 여러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iv. 사서교사는 인적자원 관리의 주체임과 동시에 피대상자이다

b. KLA '한국도서관기준' 학교도서관 조직의 일반원칙

i. 학교도서관은 교장 직속기구로 편제되어야 하며,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간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ii. 학교도서관에는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해야 한다

iii. 학교도서관 정책적 지원과 장학체계 확립을 위해 정부, 주무부처와 시도교육청에 학교도서관 전담부서를 두고 직원을 배치해야 한다

iv. 학교도서관은 도서관 특성을 고려해 학생 교사 학부모 자원봉사자 등이 참여하는 자치기구를 편성하고 운영해야 한다

c. 법정기구로서 학교도서관 관련 위원회 조직

i. 학교도서관진흥위원회-교육부

ii.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시도교육청

iii.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단위학교

d.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업무

i. 학교도서관 운영 계획

ii. 자료 수집, 제작 등과 관련된 예산 책정

iii. 자료 제적, 폐기

iv. 학교도서관의 행사와 활동

v. 그 밖의 학교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사항

e. 자료선정위원회 특징

i.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학교운영위원회의 산하조직

ii. 자료선정과 평가, 폐기 등의 업무를 담당

iii. 양질의 장서구성에 기여

iv. 교사들의 의견이 자료선택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함

v. 자료선택의 기준

1) 학교 교육과정

2) 이용자 특성

3) 자료의 지적내용

4) 자료의 물리적 특성

5) 예산

6) 기존자료 평가, 자료구성계획

f.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유형

i. 교육분야 집중수서 <-> 순회문고, 상호대차

ii. 공동목록 <-> 지역 간 종합목록 유지

iii. 지역주민개방 <-> 공공도서관 부족문제 해소

iv. 상호대차, 원문서비스 신청 <-> 상호대차, 원문서비스 제공

v. 학교도서관정보시스템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연계

g.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방식에 관한 모형

i.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 모두 다 잘 운영되는 경우

ii.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경우

iii.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통합 모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 열악한 경우

iv. cf) 학교도서관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평생교육, 문화공간, 자원보완 <-> 학교도서관 가꾸기, 도서기증, 학부모 명예사서

h. 관종 간 업무협약 체결과정

i. 자관의 특징 분석

ii. 업무협약 제안

iii. 실무협의

iv. 업무협약

v. 업무협약체결

vi. 평가/개선

i.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학교장의 역할과 책임영역

i. 운영지원

ii. 인적지원

iii. 교수학습 환경조성

iv. 장서개발

v. 공평한 접근 및 이용

vi. 정보기술

vii. 도서관활용수업(협력수업)

viii. 전문성 신장

j.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교과교사의 역할과 책임영역

i. 운영지원

ii. 교수학습 환경조성

iii. 장서개발

iv. 공평한 접근 및 이용

v. 정보기술

vi. 도서관활용수업(협력수업)

vii. 전문성 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