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6

[교육심리학] 이론정리 - D. 학습자의 발달 a. 발달 i. 발달: 성숙과 학습의 상호작용 1) 성숙: 유기체의 양적 증대 2) 학습: 유기체의 후천적 경험 ​ ii. 발달의 원리와 특징 1) 방향성: 발달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 순서성: 초기 발달이 이루어져야 후기발달이 이루어진다 3) 연속성: 단기간으로 봤을 때는 불규칙하지만, 장기간으로 봤을 때 인간의 발달은 끈임없이 연속적으로 일어남 4) 주기성: 발달은 연속적인 과정이지만, 그 발달 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다 5) 분화와 통합의 과정 6) 성숙과 학습의 상호작용 7) 개인차 8) 연령증가에 따라 발달단계 예측이 어려움 9) 발달의 성격: 기초성, 적기성, 누적성, 불가역성 ​ ​ b.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i. 사고가 언어에 선행 ii. 사고경향 1) 조작화: 행동과 사고.. 2022. 7. 19.
[교육심리학] 이론정리 - C.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a. 동기: 행동을 유발, 방향을 제시하여 유지시키는 내적 상태 i. 특징: 행동활성화, 목표지향성, 학습촉진 ii. 기본적 동기 1) 욕구(생리적, 기본적 동기) 2) 자극욕구(감각적 자극에 대한 욕구) ​ iii. 종류 1) 내적 동기: 과업 그 자체에서 만족을 느끼는 동기 2) 외적 동기: 외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동기 ​ iv. 유발방법 1) 내적 동기 유발방법: 성취감, 호기심, 흥미 2) 외적 동기 유발방법: 경쟁, 상과벌, 결과 알려줌 ​ v. 4가지 견해 1) 행동주의적 접근: 보상, 유인가 2) 인본주의적 접근: 개인의 자존감, 유능감, 생득적 실현 경향성 3) 인지주의적 접근: 사고과정에 의하여 동기가 결정됨 4) 사회주의적 접근(인지주의와 행동주의의 결합): 개인의 기대와 목표의 가치.. 2022. 7. 19.
[교육심리학] 이론정리 - B. 학습자의 지적 특성 a. 지능과 지능검사 i. 비네: 최초의 지능검사 개발 ii. 더만: 비율 IQ / 정신연령을 학생의 생활연령과 대비시켜 그 비율을 지능 지수라고 명명 iii. 웩슬러: 편차 IQ / 한 사람의 지능을 동일한 연령집단 내에서 상대적 위치로 규정한 IQ iv. 집단 지능 검사: 미육군 알파검사, 미육군 베타검사 v. 지능지수 해석상의 유의점 1) IQ는 개인의 지적 기능의 한 가지 지표로 생각해야 함 2) 과잉해석을 피해야 함 3) 지능검사 하위요인의 변산에 유의해야 함 4) IQ 점수를 점수대로 생각해야 함 5) IQ를 다른 예측 요소와 함께 사용해야 함 6) IQ 점수를 근거로 하여 아이에게 저능아, 천재 등의 라벨을 붙이는 것은 위험 ​ ​ b. 지능이론 i. 스피어만의 2요인설 1) 일반요인(g요인.. 2022. 7. 19.
[교육심리학] 이론정리 - A. 교육심리학의 기초 a. 교육심리학의 기초 i. 정의: 정범모-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 ii. 세측면: 인간의 외현적 지적 정의적 행동특성을 변화시키려는 유목적적 활동 iii. 성격: 특수성, 가치지향성 ​ b. 주요 교육심리학의 이론 i. 정신분석학: 프로이트 / 무의식, 초기경험 ii. 행동주의 심리학: 와트슨, 스키너, 손다이크, 반두라 / 외현적 행동, S-R iii. 인본주의 심리학: 메슬로우, 로저스 / 눙동성, 잠재력, 성장성, 자아실현 iv. 인지주의 심리학: 퀼러, 레빈 / 인지구조, 인지도식 2022.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