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독서교육론

[독서교육론] 이론정리 - II. 독서교육 내용체계와 독서교육계획

by lib_dotan 2022. 6. 30.

A. 독서교육 내용체계

a. 서양의 독서교육관 변천

i. 도덕 중심주의 시대

ii. 문학 감상주의 시대

iii. 인간교육 중심주의 시대

b. 독서교육관 변천의 사회적 요인

i. 인구증가와 사회계층의 분화

ii. 여가 이용

iii. 매스미디어의 발달

iv. 인간성의 회복

v. 생활수준의 향상과 교육인구의 증대

c. 독서교육관 변천의 교육적 요인

i. 음독에서 묵독으로

ii. 보고 듣기 지도로의 확대

iii. 독서레디네스 개념의 발전

iv. 독서문제아의 발견

v. 교육경쟁의 시대

d. 독서교육관 변천의 심리학적 요인

i. 개인차 발견

ii. 가이던스 운동

e. 독서교육의 원리

i. 적자의 원리: 발달단계 고려, 개인차 고려, 동기부여

ii. 적서의 원리: 알맞은 자료, 이용하기 쉽도록 정비

iii. 적기의 원리

iv. 인간관계의 원리

v. 환경적인 조건의 원리

vi. 자기이해의 원리

vii. 자기통제의 원리

f. 독서교육의 목표

i. 정서 순화, 가치관 확립, 인격도야 도모

ii. 올바른 도서 선택능력 향상

iii. 바람직한 독서습관과 능력 개발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조적 학습의 기틀 다짐

iv.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통해 평생교육의 기틀 다짐

v. 올바른 사회적 태도 배양을 통한 민주시민 자질 함양

g. 독서교육의 구성요소

i. 독자

ii. 독서자료

iii. 지도자의 전문성

iv. 교육

h. 한국 '학교도서관기준' 독서교육 내용체계

i. 독서의 기초

1) 독서는 왜 필요한가?

2) 건강한 독서생활을 위하여

3) 독서능력 개발

4) 독서계획 세우기

ii. 독서의 실제

1) 도서관 활용하기

2) 학습독서

3) 독서기록과 독후처리

iii. 독서의 평가

1) 문제해결과 정리하기

2) 독서상담

3) 지적재산의 보호와 정보윤리

4) 독서생활 평가하기

B. 독서교육계획

a. 의의

i. 독서교육 목표를 명확히 한다

ii. 독서교육 내용을 명확히 한다

iii. 독서자료를 명시한다

iv. 독서교육의 장을 설정한다

v. 독서교육 지도 협력 체제를 확립한다

b. 유형

i. 교육대상 단위에 따라

1) 개별독서교육계획

2) 집단독서교육계획

- 자유집단: 자발성을 살리는 지도계획 필요 ex)독서회

- 타율집단: 지도성을 살리는 지도계획 필요 ex)학급 독서그룹

ii. 중심이 되는 지도계획에 따라

1) 지도내용교육계획: 주제설정 -> 목표수립 -> 지도내용의 결정 -> 독서자료의 선정

2) 독서자료교육계획: 대상 도서군 선정 -> 목표, 지도내용의 결정(지도내용교육계획의 역순)

iii. 내용의 복잡성에 따라

1) 단일교육계획

2) 복합교육계획

- 독서지도와 도서관 이용지도의 복합

- 교과수업이나 학교행사와 복합시킨 경우

c. 수립 시

i. 파악해야할 요소

- 독서실태

- 발달단계

- 독서교육 목표

- 독서교육 내용

ii. 전제사항

- 독서흥미를 유발하고 바람직한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낮은 수준의 독서를 높은 수준의 독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교과학습에 도움이 되는 독서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iii. 내용구성

- 주제(단원)

- 목표

- 지도내용

- 배당시간: 30~1시간

- 독서자료

- 지도상의 유의점

iv. 독서자료 구성방법

- 발달단계에 의한 구성

- 교육영역에 의한 구성

- 교육의도에 의한 구성

- 독서자료의 종류에 의한 구성

v. 독서환경 정비방법

- 장서 구성을 정비

- 학급 문고를 충실히 갖추도록 정비

- 교과 학습의 조력을 위한 도서 갖추도록 정비

d. 실시 시

i. 전제사항

1) 다양한 방식으로 독서동기를 부여

2) 교과내용과 연계된 학습독서를 실시

3) 교양독서를 실시하여 인성교육에 이바지

4) 특정 주제에 치우치지 말고 다양한 정보자료를 대상으로 실시

5) 재량활동, 방과후활동, 별도 계획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

6) 독서교육위원회를 조직하여 교육방법과 필독도서목록 선정 후 모든 교과담당교사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함

7) 모든 교과담당교사와 협력하여 범교과적으로 실시하되, 학교 실정과 학습수준에 맞추어 실시

ii. 유의사항

1) 독서교육계획은 전교직원에게 배포, 학부모에게도 홍보하여 협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2) 독서교육에 필요한 교재, 참고도서, 학습기기 등은 학교도서관에 비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독서교육 연구자료는 교사용 자료실에 비치 언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독서교육 계획은 학교의 실정과 학생의 실태에 따라서 탄력성 있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5)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신중하게 검토하여 계획 실시 도중이라도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