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자료조직론

[목록] 이론정리 - I. 목록의 이해

by lib_dotan 2022. 6. 28.

A. 개념과 기능

a. 개념

i. 수장자료의 리스트

ii. 저록을 일정한 체계로 배열한 것

iii. 저록

1) 서지정보를 규칙에 따라 기록한 하나의 단위기록

2) 요소

- 표목

- 기술

- 표목지시(접근점)

- 청구기호

b. 기능

i. 전통적 목록의 기능

1) 식별기능(기술)

2) 검색기능(표목)

3) 소재지시 기능(청구기호)

ii. KCR4

1) 특정 저자, 표제, 주제의 저작을 탐색

2) 특정저자의 모든 저작, 특정저작의 모든 판을 집중

iii. 국제목록원칙규범(ICP 2016)

1) 검색기능

2) 식별기능

3) 선정기능

4) 확보기능

5) 항해 및 탐험기능

B. 목록의 요소

a. 표목(=표하다 표 눈 목, heading): 목록의 상단에 위치한 배열의 기준, 검색을 가능하게 함

b. 기술(=적다 기 서술 술, description): 저작에 대한 정보, 식별을 가능하게 함

C. 목록의 종류

a. 형태상 종류: 책자식 목록, 카드식 목록, 가제식 목록, 전자식 목록

b. 기능상 종류

i. 사무용 목록

1) 필수목록: 도서원부, 서가목록

2) 보조목록: 전거목록, 기본목록

ii. 열람용 목록

1) 분할목록: 저자목록, 서명목록, 주제목록

2) 사전체목록: 분할목록을 자모순으로 통합

iii. 종합용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