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자료조직론

[분류] DDC 보조표를 활용한 분류 - Table 1/Table 2/Table 3/Table 4/Table 5/Table 6

by lib_dotan 2022. 6. 20.

Table 1. 표준구분표

- Standard subdivisions

- 포함주는 표준구분하지 않는다

1) 토지경제학 이론: 333(Economics of land and energy) + 001(Table 1 철학 및 이론) = 333.001

2) 건축물의 기하학적 원리: 720(Architecture) + 015(Table 1 철학 및 이론 Scientific principles) + 16(516 Geometry) = 720.1516

Table 2. 지역구분표

- add to base number ~ notation 1-9 from Table 2

- in specific continents, contries, localities

- 지시 없이 표준구분의 09를 넣고 지역구분 가능

- ;then 뒤에 오는 내용 주의하기

1) 독일도서관: 027.0(Geographic treatment) + 43 (Table 2 유럽 Germany and neighboring central European countries) = 027.043

2) 미국은행: 332.1(Banks) + 09(Table 1 역사, 지리, 인물) + 73(Table 2 북아메리카 미국) = 332.10973

3) 한미국제관계: 327(Foreign relations of specific continents, countries, localities) + 5195(Table 2 아시아 한국) + 0 + 73(Table 2 북아메리카 미국)= 327.5195073

4) 한국의 교육정책: 379(Public policy issues in education) + 5195(Table 2 한국) = 379.5195

5) 베트남의 세금: 336.2(Taxes) + 009(Table 1 역사, 지리, 인물) + 597(Table 2 베트남) =336.2009597

6) 한국과 브라질의 무역: 382.09(International commerce in specific continent, countries, localities) + 5195(Table 2 한국) + 0 + 81(Table 2 브라질) = 392.095195081

7) 버지니아주의 문헌정보학 교육: 020(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711(Table 1 고등 교육) + 755(Table 2 버지니아) = 020.711755

8) 중국 정치인 인명록: 320(Political science) + 025(Table 1 편람이나 도표 Directories of persons and organizations) + 51(Table 2 아시아 중국) = 320.02551

Table 3. 문학형식구분표

1) 심훈의 상록수 비평연구: 895.73(1910-1945) + 3(Table 3A 소설) = 895.733

2) 한국 소설 비평연구: 895.7(Korean literature) + 3009(Table 3B 소설 비평) = 895.73009

Table 4. 언어공통구분표

- 사전은 표목어에 분류

- 두 언어 다 표목어가 되는 경우 유용한 언어에 분류하고 판단이 불가능하면 후행에 분류

- expect for modification shown under specific entries, add to base number 43 notation 1-8 from Table 4: 별 다른 사항 없으면 Table 4 가져다 써~

1) 독일어 방언: 43[0](Germanic language) + 7(Table 4 방언, 숙어, 혼합어) = 437

2) 영한사전(표목어 영어): 42[0](English) + 3(Table 4 사전) + 957(Table 6 한국어)

3) 스페인어 발음 연구: 46[0](Subdivison of Spanish) + 152(Table 4 쓰기, 음운론, 음성학 Spelling(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 461.52

4) 스펜인어 음성학 연구: 46[0](Subdivision of Spanish) + 158(Table 4 쓰기, 음운론, 음성학 Phonetics) = 461.85

5) 불어-독일어 사전, 독일어-불어 사전(프랑스어 사용 국가): 43[0](German dictionaries) + 3(Table 4 사전) + 41(Table 6 French) = 433.41

Table 5. 민족 및 국가군 구분표

- 지시 없이 Table 1의 089를 넣고 민족 구분 가능

1) 한국 민속 음악: 781.62(Folk music) + 957(Table 5 한국) = 781.62957

2) 한국 민속음악(지시x): 781.62(Folk music) + 089(Table 1 사람집단 Specific ethnic and national groups) + 957(Table 5 한국) = 781.62089957

3) 중국민족의 예술: 700(예술) + 089(Table 1 사람집단 Specific ethnic and national groups) + 951(Table 5 중국) = 700.89951

4) 한국인의 민족심리학: 155.84(Specific enthnic groups with other origins) + 957(Table 5 한국) = 155.83957

5) 한국 예술가의 도자기: 738(Ceramic arts) + 089(Table 1 사람집단 Specific ethnic and national groups) + 957(Table 5 한국) =738.089957

6) 중화요리: 641.592(Ethnic cooking) + 951(Table 5) = 641.592951

Table 6. 국어구분표

1) 독일어 사용지역 일반 도서관: 027.0(Geographic treatment) + 175 (Table 2 지역구분일반 Regions where specific languages predominate) + 31(Table 6 독일어) =027.017531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039(General encyclopedic works in other languages) + 957(Table 6 한국) = 039.957

3) 중국어 사용자들에 대한 사회적 연구: 305.7(Language groups) + 951 (Table 6 중국) =305.7951

잠깐! 사회적 연구이니 Table 1의 07 넣어줘야하는거 아닌가?

아니다 300에 이미 사회과학의 의미가 들어가 있고

이때 사회적 연구는 일반적인 연구에 해당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