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자료조직론

[분류] KDC 연습 - 기술과학/예술/언어/문학/역사

by lib_dotan 2022. 6. 18.

기술과학

1) 강철의 표면처리: 582(철 및 강철 제품) + 8(581.8 표면처리) = 582.8

2) 강철의 금형작업: 582(철 및 강철 제품) + 3(581.3 금형작업술) = 582.3

3) 카드뮴의 제작: 582.9(기타 금속제조) + 56(559.756 카드뮴) = 582.956

4) 구리의 광택내기(별법): 582.9(기타 금속제조) + 3(559.73 구리) + 82(581.82 광택내기) = 582.9382

5) 아연제품의 도금(별법): 582.9(기타 금속제조) + 52(559.752 아연) + 83(581.83 코팅(도금)) = 582.95283

6) 계란요리: 594.55(재료별 요리) + 2649(594.2649 계란) = 594.552649

7) 제주도요리: 594.519(한국지역 요리) + 99(지역구분표 제주도) = 594.51999

8) 멕시코요리: 594.54(기타 각국 요리) + 43(지역구분표 북아메리카 멕시코) = 594.5443

잠깐! '지역구분표 3-7에 따라 세분한다'라는 지시면 3만 가져와서 594.543 아냐?

'지역구분표 43-47에 따라 세분한다'라는 지시면 3만 가져오면 된다 하지만

기타 각국 요리는 북아메리카 외 나라도 포함되기 때문에 3-7은 43을 가져와야 맞다

9) 중국요리: 594.52(기타 동양 요리) + 2(지역구분표 중국) = 594.522

10) 칠면조 고기(식품): 594.26(가금) + 52(527.652 칠면조) = 594.2652

11) 돈육: 594.24(육류) + 4(527.44 돼지) =594.244

12) 철갑상어(식품): 594.29(해산물) + 47(529.47 특정어류의 어획) + 44(497.44 철갑상어) = 594.294744

예술

1) 미학: 601(미술이론, 미학)

2) 미술 기법: 602(미술 재료 및 기법) + 5(600.25 기법) = 602.5

3) 예술 기법: 600.25(기법)

4) 종교미술: 604(미술의 주제) + 2(600.42 종교) = 604.2

5) 한국역사를 주제로한 예술: 600.48(기타 주제) + 911(한국 역사) = 600.48911

6) 동양 예술사: 600.91(아시아(동양) 예술사)

7) 서양의 20세기 초현실주의 회화: 653(시대별 및 국별 회화) + 205(600.9205 20세기) = 653.205

8) 풍속사진집: 668(사진집) + 3(600.43 풍속) = 668.3

9) 인장 기구: 628.2(재료 및 기법) + 4(600.24 기구 및 용품) = 628.24

10) 월간 예술세계: 600(예술) + 05(표준구분표 연속간행물) = 600.5

11) 남성 삼중창: 673.33(삼중창) + 3(673.313 남자) = 673.333

12) 동계 유니버시아드대회: 697.069(동계종합체육대회) + 6(692.0696 유니버시아드대회) =697.0696

언어

1) 국어학사:710.109(국어학사)

2) 중일사전: 723(사전) + 3(713.3 해설어 일본어) = 723.3

잠깐! 표제어가 뭐야?

사전에서 먼저 나오는 것이 표제어

3) 한영사전(별법, 한국의 입장): 743(사전) + 1(710 상대어 한국어) = 743.1

4) 영한사전: 743(사전) + 1(710 해설어 한국어) = 743.1

5) 중국어 운서: 723.0(사전) + 1(713.01 운서) = 723.01

6) 중국어 관용어: 724(중국어 어휘) + 4(714.4 관용어) = 724.4

7) 베트남어 기초 문법: 739.92(베트남어) + 5(언어공통구분 문법) = 739.925

8) 헝가리어 회화: 739.61(헝가리어) + 7(언어공통구분 독본, 해석, 회화) = 739.617

9) 러시아어 사전(별법): 792.8(러시아어) + 3(언어공통구분 사전) = 792.83

10) 기초 라틴어 문법: 792.2(라틴어)

잠깐! 790은 별법 적용이란 말이 없으면 언어공통구분 적용 안된다

11) 기초 라틴어 문법(별법): 792.2(라틴어) + 3(언어공통구분 사전) = 792.23

12) 핀란드어 어휘 사전: 739.64(핀란드어) + 4(언어공통구분 어휘) + 03(표준구분표 사전) = 739.643

13) 필리핀어(별법): 739.86(필리핀어, 타갈로그어)

잠깐! 언어공통구분에 사전 넣어서 739.643하면 안되나?

언어공통구분의 사전은 언어에 대한 사전이기 때문에 표준구분표를 적용하여야 한다

문학

1) 수사학 원론: 802(문장작법, 수사학)

잠깐! 표준구분해서 이론으로 01 넣어줘야 하는거 아냐?

원론, 개론, 통론, 입문서 등은 개괄적인 성격으로 표준구분하지 않는다

2) 중국어 문장작법: 802.04(각국어의 문장작법) + 2(국어구분표 중국어) = 802.042

3) 프랑스어 문장작법: 802.04(각국어의 문장작법) + 6(국어구분표 프랑스어) = 802.046

4) 한국소설작법: 813(소설) + 02(802에서 지시한 작법)= 813.02

잠깐! 802.041(한국어의 문장작법) + 02 + 3(문학형식구분 소설) 이렇게 하면 안되나?

문항형식구분하라는 지시가 없을 뿐더러 '각국 문항혁식의 작법은 02를 부가한다'는 말은

각국 문학형식인 813(한국소설) 같은데다가 적용해야한다

5) 문헌정보학 논문작성법(별법): 802.066(논문작성법, 해설법) + 020(문헌정보학) = 802.06602

6) 경제학 논문작성법(별법): 802.066(논문작성법, 해설법) + 320(경제학) = 802.06632

7) 세계수필전집: 808(전집, 총서) + 4(문학형식구분 수필) = 808.4

8) 세계소설사: 809(문학사, 평론) + 3(문학형식구분 소설) = 809.3

9) 소설비평: 809(문학사, 평론) + 3(문학형식구분 소설) = 809.3

잠깐! 각 809.-는 문학형식의 역사 자린데 비평을 넣어도 돼?

809에서 문학사, 평론이라 기술되어있으니 같이 분류한다

10) 중세문학비평: 809.03(중세)

11) 20세기 자연주의 문학사: 809.06(20세기 문학사)

12) 한국시 비평: 811(한국시) + 09(표준구분의 의미를 가진 비평) = 811.09

잠깐! 표준구분의 의미를 가졌다니 무슨 말?

801-809가 표준구분의 의미를 띄고 있으며 809에서 문학사, 평론의

의미를 부가하였으므로 비평을 표준구분 09로 사용한다

13) 중국소설사: 823(중국소설) + 09(표준구분표 역사) = 823.09

14) 브레인/로빈쿡(1981): 843.5(20세기)

15) 몰타의 매/대실 해미트(1930)(추리소설): 843.5(20세기) + 07(813.607 추리, 탐정, 모험 소설) =843.507

16) 해리포터/J.K 롤릴(1997)(판타지소설): 843.5(20세기) + 08(813.608 과학, 공상, 판타지 소설) = 843.508

17) 뿌리/알렉스 헤일리(1976)(영국 문학과 미국문학을 구별할 경우): 849.3(소설) or U843.5

역사

1) 세계의 고고학: 902.5(고고학)

2) 아시아 고고학: 910.0(아시아 역사관, 보조학, 사료) + 25(911.0025 고고학) = 910.025

3) 한국 고고학: 911.0025(고고학)

4) 중국 고고학: 912.00(중국 사관, 보조학, 사료) + 25(911.9925 고고학) = 912.0025

5) 20세기 극동아시아: 910.5(20세기)

6) 미국역사: 942(미국)

잠깐! 지역구분표 넣어서 942.0942 하면 안될까?

900번대는 이미 역사, 지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09를 넣으면 중복분류가 된다

7)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유홍준 지음): 981.1(한국지리) + 02(980.2 명승안내, 여행)

잠깐! 지시도 없는데 이렇게 해? 981.1 아냐?

예제에 아시아기행 981.02가 있기 때문에 적용한다

8) 영국 표류기(탐험기): 982.4(영국) + 029(980.29 탐험기, 발견기) = 982.4029

잠깐! 지시도 없고 예시도 없는데 이렇게 해? 982.4 아냐?

980.2에서 예시는 상위의 지시와 같기 때문에 하위인 탐험기, 발견기에도 적용한다

9) 한국지도: 989(지도 및 지도책) + 11(지역구분표 아시아 한국)

10) 한국지도(별법): M981.1(한국지리)

11) 미국지도(별법): M984.2(미국지리)

12) 프랑스의 위인들(별법): 992(유럽전기) + 6(지역구분표 프랑스)

13) 혁명가 체게바라 평전(별법): 998(주제별 전기) + 340(정치학) = 998.34 or 99 or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