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학교도서관운영론

[학교도서관운영론] 이론정리 - IX. 교육서비스

lib_dotan 2022. 6. 14. 15:41

A. 교육서비스의 이해

a. 인포메이션 파일의 유형

i. 버티컬 파일: 일시적인 가치를 지닌 자료를 모아 놓은 파일철

ii. 참고질문카드: 질문자명, 질문주제, 질문방법 등을 기술해둔 것

iii. 패스파인더: 주제명에 대한 정보원을 간략히 서술해둔 것

b. 독서교육은 독서교육론 참고

c. 정보활용교육은 정보봉사론 참고

B.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 실제

a.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끼치는 학교도서관 운영요소

i. 유능한 직원, 자료, 예산

ii. 강력한 컴퓨터 네트워크

iii. 장서의 질

iv. 학교도서관 이용률

v.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간의 협력

b. AASL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 기준

i. 공통기초: 공통가치, 조사 포용 협력 관리 지적탐험 참여

ii. 핵심실행요소: 공통기초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법

iii. 영역: 학습 및 교육 영역

iv. 역량: 학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 사서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

v. 조정역할: 학생 역량과 사서교사 역량을 일치시키기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져야 할 역할과 업무를 제시

c.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사서교사가 수행해야 할 교육적 핵심업무

i. 리터러시 및 독서촉진

ii. 미디어 및 정보활용교육

iii. 탐구기반 학습

iv.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

v. 문학과 문화 감상 교육

vi.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육

d. 도서관활용수업의 필요성

i. 다양한 학습활동 전개

ii.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iii. 능동적인 학습 참여

iv. 통합적 교수학습 전개

v. 평생교육 기반 조성

vi.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인재 양성

e. 도서관활용수업의 전개과정

i. 계획 세우기: 대상 교과 선정, 공동의 학습목표 기술, 도서관활용수업 지도안 작성

ii. 교수학습자료 준비하기

iii. 교수학습 기자재 설정하기

iv. 도서관 활용수업 실시하기

v. 도서관 활용수업 평가하기

f. 도서관활용수업을 위한 정보활용능력과 학습기술

i. 과제분석

1) 목표: 정보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과제를 분석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2) 학습기술: 브레인스토밍, 생각지도 그리기, 과제의 중심단어 가려내기, 유형 구분하기

ii. 정보접근

1) 목표: 과제 해결에 적합한 정보원 찾을 수 있다, 과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원을 가려낼 수 있다

2) 학습기술: 분류표와 참고도서 이용하기, 서지사항 기록하기

iii. 정보분석

1) 목표: 정보원 종류별로 적합한 정보분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찾아낸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2) 학습기술: 예측하며 읽기, 비판하며 읽기, 요약하며 읽기

iv. 정보종합 및 표현

1) 목표: 분석한 정보를 성격에 따라 정리할 수 있다, 정보전달 대상과 과제 성격에 따라 효과적인 표현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v. 평가

1) 목표: 과제 해결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과제 해결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

g. 도서관활용수업에서 교사의 후견인으로서 역할

i. 도와는 주되, 직접 해주어서는 안된다

ii.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를 자세히 설명해준다

iii. 어려운 단어는 설명해준다

iv.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삽화를 알려준다

v. 본문, 색인, 요약문 활용법을 지도한다

h. 도서관협력수업의 전개과정

i. 요구조사, 일정조정

ii. 수업계획

1) 학습자분석

2) 목표설정

3) 과제분석

4) 평가도구, 교수매체 선정 및 개발

iii. 수업전개

iv. 수업평가

i. IFLA&UNESCO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협력수업의 접근법

i. 지원 교수: 1교사 1보조 교사

ii. 보충 교수: 한 교사가 수행한 교육활동을 다른 교사가 보완하는 수업

iii. 수평 교수: 스테이션 교수, 동시에 서로 다른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수업

iv. 팀 티칭: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j. 콜린스 팀 티칭 모형

i. 리더-보조교사 모델: 사서교사는 단순 도움

ii. 외부강사 모델: 한 명이 수업을 전담하고 필요에 따라 일부를 외부강사가 담당

iii. 다수교사 모델: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iv. 합동교수 모델: 동일한 수업내용이 전개되는 학급을 합하고 수업분담

k. K-12 이니셔티브 모형

i. 이용: 접촉없이 학생들이 알아서 이용

ii. 연결: 교과교사가 통보

iii. 협력: 교과교사가 과제 상세히 알리고 사서교사가 자료 제공

iv. 조정: 교과교사가 수업지도안 알리고 사서교사와 협의하여 자료 조정

v. 공동: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l. 한윤옥 모형

i. 단순 협력형: 사서교사가 자료만 준비(K-12의 협렵까지)

ii. 일반 협력형: 교과교사가 자료 문의하면 사서교사가 안내하고 제시

iii. 밀접 협력형: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m. 오버럴 모형

i. Coordination: 협력, 사전 계획없이 즉흥적

ii. Corporation: 협조, 각자의 교육목표를 독립적으로 지도

iii. 통합교수: 공동학습목표

iv.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계획과 개발에 사서교사 참여

n. 돌 모형

i. 독립: 접촉없음

ii. 협동: corporation, 사서교사가 자료 제공

iii. 조정: 교과교사가 수업지도안 알리고 사서교사와 협의하여 자료 조정

iv. 협력: collaboration,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o. Bouilet 모형

i. 독자적 운영

ii. 협조적 운영

iii. 연합 운영

p. Dickinson 모형

i. 협조: 교과교사가 자료 요청하면 제공

ii. 협력: 학습주제와 관련된 자료의 활용능력 지도

iii. 협동: 공동으로 수업 계획, 전개, 평가

q. 도서관협력수업 시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역할

i. 교과교사

1) 교과내용에 대한 지도

2) 협력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교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3) 사서교사와 과제부여에 대한 협의

ii. 사서교사

1) 정보활용에 대한 지도

2) 정보활용과정에 대한 지식, 정보활용교육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지식

3) 학교도서관 내외의 자료 접근, 자료 연계, 교과교사와의 접촉 유도

iii. 공동역할

1) 공동 학습목표 설정, 교수학습활동 설계, 공동평가, 수업책임 분담

2) 학생들의 과제해결 과정 촉진 및 안내

r. 도서관협력수업의 주체별 장점

i. 학생

1) 주의환기 및 지루함 제거

2) 동기유발 및 흥미 증대

3) 문제해결능력, 학습하는 방법,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 신장

ii. 교과교사

1) 교사의 전문성과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

2) 학생중심 수업 구현

3) 사서교사의 지원을 받고 교과내용 영역에 집중 가능

iii. 사서교사

1) 정보활용교육 전개 가능

2) 단순지원이 아닌 파트너로서 역할 수행

3)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제고와 리더십 발휘

s. 도서관협력수업을 위한 운영시간표

i. 고정식 시간표: 사전에 배정, 독점

ii. 개방식 시간표: 교실 수업 전개하는 도중 접근, 체계적협력수업전개 어려움

iii. 탄력적 시간표: 언제든 가능하나 사전 협의, 혼선유발가능성

iv. 블록형 시간표: 여러 시간을 묶어서 운영, 다른 학급 접근 불가

t. 도서관협력수업을 위한 운영시간 방법

i. 일괄전개법: 탐색접근 분석이해 종합표현

ii. 차시분할법: 탐색접근/분석이해/종합표현

iii. 점진반복법: 탬색접근/탐색접근분석/탐색접근분석이해/......